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투자

주린이 주식 기초 기업 분석 방법 ①

안녕하세요. 이노알파입니다.

주식을 사고 팔 때

어떤 기준으로 거래를 하시나요?

 

소문을 듣고 매매를 할 수도 있고

그냥 느낌으로 하실 수도 있지만

 

주식으로 

돈을 벌고 싶으시다면

기초적인 기업 분석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주식을 사고 팔 때

기준으로 삼는

기초적인 기업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좋은 기업 고르는 법

 

1) PER(Price Eanrings Ratio, 주가수익률)

 

PER은 기업의 가치가

이 기업이 1년간 벌어들이는 돈의

몇 배에 거래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주가 ÷ 주당 순이익 = PER

기본적으로 PER은 낮을수록 좋지만,

경쟁사들과 비교해야 합니다.

 

또한, 네이버, 카카오와 같이

트렌드를 이끌며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기존 제조업 대비

더 높게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참고로 시가총액은

그 회사의 '발행주식수 × 주가'로

주식시장에서의

그 회사의 규모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시가가 1만 원이고, 발행주식수가 1천만 주인

회사의 시가총액은 1000억 원입니다.

 

2)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PER가 이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의

몇 배에 거래되는가를 보는 지표라고 하면

 

EPS는 거래되고 있는 주식 당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에 대한 수치로

과거 10년치를 시계열로 비교하여

EPS가 꾸준히 증가하는 회사가

우량한 회사입니다.

당기순이익 ÷ 주식 수 = EPS 

 

3)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수치가 낮을수록

자산 가치 대비 저평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만약 PBR이 1미만의 수치를 나타내면

주가가 장부 상의 순자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주가 ÷ 주당순자산 = PBR

다만, 과거 제조업 중심의 경제에서는

PBR이 부채비율과 함께

우량한 기업여부를 판별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였지만,

 

최근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들의 경우

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PBR이 매우 높습니다.

 

 

이에 PBR은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4) DR(Dividend Yield Ratio, 배당수익율)

 

DR은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때

회사가 주주들에게

1년간 수익을 나누어주는 지표 중의 하나로

1주당 주식가격 대비 배당금의 비율입니다.

주당 배당금 ÷ 주식가격 X 100 = DR

아무래도 배당수익률이 높은 회사가

매력이 더 높겠죠?

 

다만, 배당은 회사가 성장 대신

주주들에게 이익을 공유한다는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성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미국 아마존의 경우,

배당을 하지 않고 이익을 모두

투자하여 지속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 PDR (Price to Dream Ratio, 주가꿈비율)

 

최근 테슬라라는

전기차 회사의 시가총액이 

세계 최대 자동차 판매회사

토요타를 능가하였습니다.

이렇게 순이익 관점의

PER로는 도저히 설명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미국 월가에서는

주식시장은 결국 꿈을 먹고 사는

비즈니스라고 해서

PDR이라는 용어를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즉, 지금처럼 저성장 시대에서는

향후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기업의 가치는 높게 평가받을 수 있다는

뜻으로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

오늘도 성공 투자하세요~